[임신 시 혈액량 증가]
-임신 10~12주 사이에 증가 시작
-28~32주 사이에 30~50% 정도 증가하여 최고 상태 도달 후 감소시작
-분만 후 2~3주 이내에 임신 전 상태로 회복
1. 분류
·Ⅰ급 : 정상 활동 시 무증상 ·Ⅱ급 : 활동 증가 시 증상이 나타남(피로, 심계항진, 약간의 호흡곤란) ·Ⅲ급 : 휴식 시 무증상, 그러나 심장질환의 증상으로 현저한 활동제한이 필요한 경우 ·Ⅳ급 : 휴식 시에도 증상이 나타남. 어떠한 신체적 활동으로도 불편감이 증가되는 경우
-임부의 0.5~3% 정도에서 심장병 발생
-중증의 심장질환은 모성 사망의 1~3% 정도
-임신 중 심근경색증 있는 경우 사망률 37%(다른 원인에 비해 4배 높음)
-Ⅳ급 심장질환의 모성사망률은 50%에 가깝고 주산기사망률이 50% 이상, 이는 심장기능대상
부전으로 인한 것
2. 심장병이 임부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
-분만 직후 심장기능대상부전 위험 가장 큼 → 체액균형의 변화가 심장 부담 증가시킴
-Ⅲ, Ⅳ급은 80%가 사망, 사망의 주된 원인은 임신 후반기 혈량과 심박출량 증가로 대동맥
절개·파열
-자연유산, 조산 빈도 증가, 태아사망률 50%,
-자궁내 성장지연(IUGR) → 심장기능대상부전으로 자궁태반 순환 억제, 산소 결핍
3. 심장병 임부간호
1) 간호사정
-임신 중 심장질환 시 임신 지속 매우 어려움
-심장병 있는 임부는 매주 병원 방문
-내과력, 가족력 : 선천성 심장질환, 연쇄상구균 감염, 류마티즘염, 판막질환, 심내막염, 울혈
성 심부전, 협심증, 심근경색 등 사정
-빈혈, 감염, 부종 등 심장 부담 증가 요인 사정
-임부 휴식 또는 운동 시 흉통, 부종, 고혈압, 심계항진, 심잡음, 발한, 창백, 실신, 야간에 발
작적 호흡곤란 등을 경험 사정
-기침, 객혈, 짧은 호흡, 기좌호흡 등 호흡기계 증상
-우울, 임신관련 불안, 사회적 고립의 두려움, 무력감 등 관찰
-심장기능대상부전 징후 관찰
· 임부(주관적 징후) : 피로 증가, 숨 찬 느낌, 잦은 기침, 빠른 맥박, 달리기할 때처럼 심장 뜀, 손과 발 등의 부종(반지 못 낌) · 간호사(객관적 징후) : 불규칙, 빠른 맥박(100회/분 이상), 점진적 전신부종, 폐기저 수포음, 기좌호흡, 25회/분 이상의 호흡수 증가, 잦은 기침, 피로 증가
-초기 방문 시 요분석, 혈구검사(특히 Hb, Hct, WBC 등), 흉부 X-선 촬영, 심전도 검사 추후
결과와 비교
-맥박산소측정법, 초음파, 심장조형술 실시
-임신 말기 X-선 촬영 시 복부 충분히 가리도록 함
-초음파, 태동검사, 비수축검사 등을 통해 태아 안녕 사정
2) 간호중재
*치료 초점 : 심장 부담 최소화
·Ⅰ급 : 심장기능 대상부전 예방 위해 스트레스 제한, 밤과 식후에 충분한 휴식, 호흡기 감염
이나 다른 감염에 대해 자주 평가, 치료적 유산고려 X
·Ⅱ급 : 심장기능 대상부전 증상 초래하는 활동 금함. 심장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함. 부정
맥 증상이 나타남. 임신말기가 가까워지면 입원할 필요가 있음
·Ⅲ급 : 매일 대부분의 시간 동안 침상안정 필요. 심장기능 대상부전의 과거력 있는 임부는
치료적 유산 시킬 수 있음
·Ⅳ급 : 휴식 중에도 심장기능 대상부전증 발생가능. 위험하지 않아도 초기 유산 시켜야 함.
-임신 10~12주 사이에 증가 시작
-28~32주 사이에 30~50% 정도 증가하여 최고 상태 도달 후 감소시작
-분만 후 2~3주 이내에 임신 전 상태로 회복
1. 분류
·Ⅰ급 : 정상 활동 시 무증상 ·Ⅱ급 : 활동 증가 시 증상이 나타남(피로, 심계항진, 약간의 호흡곤란) ·Ⅲ급 : 휴식 시 무증상, 그러나 심장질환의 증상으로 현저한 활동제한이 필요한 경우 ·Ⅳ급 : 휴식 시에도 증상이 나타남. 어떠한 신체적 활동으로도 불편감이 증가되는 경우
-임부의 0.5~3% 정도에서 심장병 발생
-중증의 심장질환은 모성 사망의 1~3% 정도
-임신 중 심근경색증 있는 경우 사망률 37%(다른 원인에 비해 4배 높음)
-Ⅳ급 심장질환의 모성사망률은 50%에 가깝고 주산기사망률이 50% 이상, 이는 심장기능대상
부전으로 인한 것
2. 심장병이 임부와 태아에 미치는 영향
-분만 직후 심장기능대상부전 위험 가장 큼 → 체액균형의 변화가 심장 부담 증가시킴
-Ⅲ, Ⅳ급은 80%가 사망, 사망의 주된 원인은 임신 후반기 혈량과 심박출량 증가로 대동맥
절개·파열
-자연유산, 조산 빈도 증가, 태아사망률 50%,
-자궁내 성장지연(IUGR) → 심장기능대상부전으로 자궁태반 순환 억제, 산소 결핍
3. 심장병 임부간호
1) 간호사정
-임신 중 심장질환 시 임신 지속 매우 어려움
-심장병 있는 임부는 매주 병원 방문
-내과력, 가족력 : 선천성 심장질환, 연쇄상구균 감염, 류마티즘염, 판막질환, 심내막염, 울혈
성 심부전, 협심증, 심근경색 등 사정
-빈혈, 감염, 부종 등 심장 부담 증가 요인 사정
-임부 휴식 또는 운동 시 흉통, 부종, 고혈압, 심계항진, 심잡음, 발한, 창백, 실신, 야간에 발
작적 호흡곤란 등을 경험 사정
-기침, 객혈, 짧은 호흡, 기좌호흡 등 호흡기계 증상
-우울, 임신관련 불안, 사회적 고립의 두려움, 무력감 등 관찰
-심장기능대상부전 징후 관찰
· 임부(주관적 징후) : 피로 증가, 숨 찬 느낌, 잦은 기침, 빠른 맥박, 달리기할 때처럼 심장 뜀, 손과 발 등의 부종(반지 못 낌) · 간호사(객관적 징후) : 불규칙, 빠른 맥박(100회/분 이상), 점진적 전신부종, 폐기저 수포음, 기좌호흡, 25회/분 이상의 호흡수 증가, 잦은 기침, 피로 증가
-초기 방문 시 요분석, 혈구검사(특히 Hb, Hct, WBC 등), 흉부 X-선 촬영, 심전도 검사 추후
결과와 비교
-맥박산소측정법, 초음파, 심장조형술 실시
-임신 말기 X-선 촬영 시 복부 충분히 가리도록 함
-초음파, 태동검사, 비수축검사 등을 통해 태아 안녕 사정
2) 간호중재
*치료 초점 : 심장 부담 최소화
·Ⅰ급 : 심장기능 대상부전 예방 위해 스트레스 제한, 밤과 식후에 충분한 휴식, 호흡기 감염
이나 다른 감염에 대해 자주 평가, 치료적 유산고려 X
·Ⅱ급 : 심장기능 대상부전 증상 초래하는 활동 금함. 심장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함. 부정
맥 증상이 나타남. 임신말기가 가까워지면 입원할 필요가 있음
·Ⅲ급 : 매일 대부분의 시간 동안 침상안정 필요. 심장기능 대상부전의 과거력 있는 임부는
치료적 유산 시킬 수 있음
·Ⅳ급 : 휴식 중에도 심장기능 대상부전증 발생가능. 위험하지 않아도 초기 유산 시켜야 함.
'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인성 쇼크 간호 :2 (0) | 2022.11.24 |
---|---|
심인성 쇼크의 간호 :1 (0) | 2022.11.24 |
여성간호학 : 모유수유, 신생아 간호 (0) | 2022.11.24 |
응급환자 평가 시 일차 사정 (0) | 2022.11.24 |
간호사의 역할 (0) | 2022.11.2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