: 영아의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공급하는 가장 이상적인 식품으로 영양학적, 면역학적, 심리학적으로 인공 수유보다 우수함.
<모유수유와 간호>
모유수유의 이점
모유 : 산모가 자신의 아기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음식, 생후 4~6개월간은 모유수유만으로도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음
1. 아기를 위한 이점
- 면역물질 함유, 신생아 알레르기 및 질환 예방
- 태변 조기 배설 촉진
- 영양분(단백질, 지방, 철분 등)의 소화흡수 용이
- 감염성 질환(세균성 뇌막염, 세균혈증, 설사, 호흡기 감염, 괴사성 장염, 중이염, 비뇨기계 감염, 조산아에서 발생하는 후기발생 패혈증)의 발생과 심각성 감소
- 신생아 후기 영아사망률 감소
- 영아돌연사증후군(SIDS) 발생률 감소
- 1형, 2형 당뇨병 발생 감소
- 림프종, 백혈병, 호지킨병 발생 감소
- 턱발달, 부정교합이나 치열 이상 문제 감소
2. 엄마를 위한 이점
- 모아애착 강화, 모성의 심리적 안정
- 자궁수축 촉진으로 산후출혈 예방
- 산후출혈 감소 및 보다 빠른 자궁복구
- 난소암 및 폐경전 유방암 발생위험 감소
- 모아결속 증진
- 분유에 비해 비용감소(경제성有)
수유부를 위한 간호
1. 모유 분비기전 : 모유생성
- 유즙분비 기전 : 유선발달 → 유즙생성 → 유즙분비 → 사출반사
- 출산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량 급격히 감소→ 뇌하수체전엽에서 프로락틴의 분비를 자극
- 프로락틴은 임신기 : 유즙분비위한 유방을 준비 / 수유기 동안 : 모유 합성과 분비 관여
- 프로락틴의 수준은 수유를 계속하는 동안 기준치보다 높음
- 유즙분비와 관련된 호르몬
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 | 태반 분비호르몬으로 유관발달 및 유관 소엽 발달 |
프로락틴 | 유선의 선방세포에 작용, 유즙생성에 관여 프로락틴 분비 증가→ 배란 안 됨 분만 24~48시간 내 분비 |
옥시토신 | 자궁수축과 유즙분비에 과여 빠는 자극으로 인해 유즙사출과 자궁퇴축이 빨라짐 사출반사 관여 * 사출반사 : 매 수유시마다 발생가능, 아기가 우는 소리를 듣거나 아기와 관련된 생각, 장면, 소리, 냄새에 의해 외부자극 없이 유즙이 분비되는 것 |
2. 모유수유
- 아기가 엄마의 유방을 마주 볼 수 있는 자세로 아기를 껴안음
- 아기의 자세는 머리, 몸통, 다리가 일직선이 되도록 함
- 수유는 양쪽 유방 모두 실시, 유두와 유륜이 1cm 이상 들어가도록 깊이 물려줌
- 야간이나 휴식 시 옆으로 누워서 수유
- 수유의 양과 시간은 아기가 원하는 만큼 충분히 제공
- 수유 전 : 온찜질 / 수유 후 : 냉찜질
- 수유 후 남은 젖은 짜서 유방을 비움 : 유즙 생성 및 분비 촉진
- 아기가 니플을 잘 물도록 엄마의 엄지손가락은 유방의 위쪽에, 나머지 손가락은 유방 아래 유륜의 가장자리에 둔 채로 유방을 지지
3. 일반적 유방간호
- 매 수유 전 손 씻기
- 유방염 예방을 위해 자주 수유 또는 유축해 냄
- 유방울혈의 가장 좋은 간호는 모유수유
<신생아 간호>
신생아 신체사정
아프가 점수 : 분만 후 신생아의 생존 여부를 신속 정확히 사정하는 지표 → 심박수, 호흡능력, 근력, 자극에 대한 반응, 피부색
- 출생 후 1분과 5분에 평가. 1분 아프가점수 : 신생아의 출생 후 자궁 밖 생활 적응 정도 사정 / 5분 아프가점수 : 신생아의 중추신경계 상태를 더 명확하게 알려주는 지표
간호중재
1. 기도유지(호흡유지)
- 재태기간 정상인 질분만 신생아는 기도 유지에 어려움이 없음. 대부분의 분비물들은 기침반산에 의해 입과 코로 배출되거나 삼켜짐, 배액 촉진 위해 신생아를 포에 싸 측위로 눕힘
- 정상호흡 : 40~60회/분
- 신생아 첫 호흡기전 : 높은 CO2 분압, 낮은 주위의 온도, 낮은 pH, 계면활성제
2. 체온유지
- 체표면에 있는 양수나 습기 증발 시 많은 열 뺏김
- 재빨리 수분닦기, 즉시 감싸기, 체온 안정 시까지 온열 방사기(36~37도)나 보육기에 둠
- 액와체온은 신생아 체온 안정 시까지 매시간 측정
- 저체온 시 2~4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따뜻하게 함(급하게 하면 무호흡, 산독증 가능성)
3. 눈간호
- 신생아가 엄마의 감염된 산도를 통과하면서 임균이나 클라미디아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
4. 저프로트롬빈혈증 예방
- 신생아의 출혈성 질환 예방 위해 분만 직후 비타민 k를 근육 내에 0.5~1mg을 1회 투여
5. 제대간호
- 출생 직후 결찰된 제대는 24시간 내에 출혈이 멈추고 마르기 시작
- 제대간호의 주요 목표는 출혈이나 감염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
6. 신분확인
① 신생아의 팔 다리에 아기의 부모이름과 출생시간, 성별을 확인한 이름표 부착
➁ 어머니가 아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하고 양쪽 발 도장을 신생아 기록지에 남김
7. 모아상호작용
① 조기 모아 상호작용의 증진
➁ 아기를 보고 안아보게 하여 모아 상호작용 증진도모 – 이는 초기 모유수유에도 긍정적 영향
8. 분만으로 인한 아두의 변화: 산류와 주형, 두혈종 모두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저절로 사라짐
① 산류(Caput succedaneum): 경관이 개대되기 전에 분만이 지연된 경우 자궁경관 바로 앞에 놓여 있는 태아 두피부분에 부종이 생기는 것 (경계가 분명하지 않고 봉합선을 넘어감)
➁ 주형(Molding): 태아의 두개골은 완전히 융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봉합이 겹쳐지는 현상(+)
③ 두혈종(Cephalohematoma): 분만 24시간 지연 시, 두골 바깥 표면과 두골 골막의 사이에 혈액이 고인 것으로 흔치 않음
'간호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인성 쇼크 간호 :2 (0) | 2022.11.24 |
---|---|
심인성 쇼크의 간호 :1 (0) | 2022.11.24 |
여성간호학 : 임신과 심장질환 (0) | 2022.11.24 |
응급환자 평가 시 일차 사정 (0) | 2022.11.24 |
간호사의 역할 (0) | 2022.11.24 |
댓글